위키백과참조
화투(花鬪)는 12종류 48장으로 되어 있는 놀이딱지의 일종이다. 일본의 카드놀이인 (일본어: 花札 はなふだ, 화찰)가 조선 시대 후기에(19세기경) 한반도로 전해져 변형된 것으로 보이며, 장사차 조선에 왕래하던 쓰시마섬 상인들에 의해 퍼진 것으로 여겨진다.
화투는 한국에 들어온 후 급속히 전파되어 오늘날 가장 대중적으로 이용되는 도박의 도구가 되었다.
그 놀이 방법이나 용어는 투전 등에서 유래한 것으로도 보인다.
간혹 “화토”로 잘못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
화투를 풀이하면 꽃의 싸움이다.
초기의 화투는 일본 하나후다와 유사하게 종인인쇄로 전해지다가 화투패의 그림이 왜색이 짙다는 이유로 1950년대를 기점으로 화투의 신제품 및 현지화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판화를 4색판으로 줄이고 기존의 종이 재질에서 플라스틱 재질로 교체하고 두께도 얇아졌으며, 이후 대량생산 단계를 거치면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하나후다
화투의 원형인 일본의 전통 카드 게임인 하나후다(일본어: 花札, 화찰)는 하나카루타(일본어: 花かるた)라고도 부른다.
일본에 하나후다가 시작된 시기는 16세기 후반으로 보고 있다.
당시 일본은 포르투갈과 대대적으로 무역을 시작한 시절에 포르투갈 선교사를 통해 트럼프가 전해지게 되어 이것이 가루타의 일종인 ‘텐쇼-가루타(天正カルタ)’로 불리게 된다.
가루타는 카드를 뜻하는 포르투갈어 카르타(carta)에서 유래하였으며 훗날 여기에 한자를 도입하여 ‘가류다(歌留多)’, ‘가류다(加留多)’, ‘곳파이(골패,骨牌)’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것이 도박성 문제로 에도 막부에서 1791년에 금지령이 떨어지면서 이를 다른 그림을 그려서 대체하는 새로운 가루타를 만들면서 금지령을 피해간 것이 하나후다의 원형이다.
뒤에 하나후다도 수차례 금지령이 떨어진 적이 있었다.
이후 조선시대 후기에 하나후다가 전해져 한국의 화투로 변형되었다.
한국에서 대중적으로 보급된 된 화투와 달리 일본의 하나후다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보급이 점차 줄어들어 ‘이로하가루타’와 함께 정월 한정으로 특별히 하는 놀이로 이용되어 하나후다를 즐기는 일본인이 매우 드물다.
그리고 화투에 비해 하나후다가 실용성에서 불리한 점도 있어서 한국식 화투가 일본에 역수출 되는 사례도 있다.
하나후다는 전통적인 일본식 기법으로 제작하며 뽕나무 또는 닥나무 껍질을 벗기고 점토와 혼합하여 만든 화지를 여러 겹으로 겹쳐 판을 만든 후 위에 전통 일본식 인쇄법으로 인쇄한다.
화투가 플라스틱 재질에 현대적 기법으로 인쇄하는 반면, 하나후다는 아직도 이러한 전통적인 기법으로 제작하는 곳이 대부분이다.
일본의 게임 회사인 닌텐도도 창립 초기에는 하나후다 제작 회사로 출발하였으며, 이후 하나후다 사업 규모는 줄어들었지만 현재에서도 하나후다 관련 카드들을 생산하고 있다.
이 외에 한국의 화투와 일본의 하나후다가 가지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패의 테두리와 뒷면이 화투는 붉은색인 반면, 하나후다는 검은색이다.
- 종이를 여러 겹으로 만드는 공정 특성상 하나후다의 두께는 화투의 2~3배 정도가 된다.
- 하나후다는 적색,흑색,녹색,황색,자색(보라색)의 5색을 사용하며 패의 그림이 복잡하고 상세한 반면, 화투는 녹색,자색의 2색이 제외되고 청색이 추가된 4색을 사용하며, 녹색은 흑색으로 자색은 청색으로 대체되었고, 패의 그림도 단순화 되었다.
- 비광의 인물모습이 하나후다에서는 일본식 의상이었으나, 화투에서는 왜색으로 인해 중국식 의상으로 바뀌었다.
- 청단의 색깔이 하나후다는 보라색이나 화투는 청색이며 더불어 하나후다에는 없는 글씨로 ‘청단’ 문구가 추가되었다. (이 문구는 1980년대 이후에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
- 광이 하나후다에서는 따로 光표시를 명시하지 않았으나 화투에서는 光표시가 추가되었다.
- 홍단의 문구가 하나후다에서는 ‘あかよろし'(단, 벚꽃의 홍단은 ‘みよしの’)가 표시되어 있으나, 화투에서는 ‘홍단’으로 통일되어 있다.
화투 패의 특징
화투는 48장으로 4장씩 12달을 상징하는데 1월은 송학(松鶴;솔), 2월은 매조(梅鳥), 3월은 벚꽃, 4월은 흑싸리, 5월은 난초(蘭草), 6월은 모란(牡丹), 7월은 홍싸리, 8월은 공산(空山;공산명월), 9월은 국진(菊진), 10월은 단풍(丹楓), 11월은 오동(梧桐), 12월은 비(雨)로 되어 있다.
그림에 따라서 광(光)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는 20끗짜리, 주로 동물이 그려진 10끗짜리, 띠 모양 종이가 그려진 5끗자리, 그리고 끗수가 없는 홑껍데기 등 네 가지로 나눈다.
화투놀이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다. 보통 월별로 그림을 맞추는 민화투(또는 늘화투)는 끗수를 계산하여 많이 딴 쪽이 이기는 것이다.
민화투에는 ‘약’이라는 것이 있어 난초약(5월)·풍약(10월)·비약(12월) 등으로 그 달의 4장을 모두 차지하면 20끗씩을 더 받게 된다.
이 밖에 5끗짜리 띠 중에서 ‘홍단’, ‘청단’, ‘초단’ 등 3가지 띠를 차지하면 30끗씩을 더 받게 되며, 지방에 따라 ‘4오동’이라 하여 오동 4장을 모으면 40끗씩을 받기도 한다.
‘육백(600)’이란 놀이 방법도 있다.
이 놀이는 여러 가지 득점 규약에 따라 600점을 먼저 따는 편이 이기게 된다.
근래에는 화투가 여러 가지 새로운 형식의 놀이로 변하여 ‘짓고땡’, ‘섯다’, ‘고스톱’, ‘월남뽕’ 등 다양하며, 2∼4명이 노는 것이 보통이나 ‘섯다’ 등은 10명도 놀 수가 있다.
그 밖에 아낙네나 노인들이 재미로 하는 ‘재수보기’와 ‘운수띠기’가 있다.
화투가 들어오면서 도박의 판도가 바뀌어 옛날식 투전은 자취를 감추게 되었고 화투가 도박의 전형으로 토착화되었다.
크기는 보통 35mm x 53mm이며 약 1mm 두께의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색깔은 붉은색이 가장 많지만 기타 다양한 색의 화투도 있다.
패의 종류
화투에서는 12가지 그림이 있다.
이 12가지는 1월부터 12월까지에 해당하는 그림을 4장씩 짝을 이루고 있다.
그 종류는 다음과 같다.
1월 한국 – 송학(松鶴), 일본 – 마츠(松, 소나무)
2월 한국 – 매조(梅鳥) , 일본 – 우메(梅, 매화나무)
3월 한국 – 벚꽃, 사쿠라 , 일본 – 사쿠라(桜, 벚나무)
4월 한국 – 흑싸리, 싸리 , 일본 – 후지(藤, 등나무)
5월 한국 – 난초(蘭草) , 일본 – 아야메(菖蒲, 창포)
6월 한국 – 모란(牡丹) , 일본 – 보탄(牡丹, 모란)
7월 한국 – 홍싸리(萩) , 일본 – 하기(萩, 싸리)
8월 한국 – 공산(空山) , 일본 – 스스키(芒, 억새)
9월 한국 – 국진 , 일본 – 기쿠(菊, 국화)
10월 한국 – 단풍 , 일본 – 모미지(紅葉, 단풍)
11월 한국 – 오동 , 일본 – 기리(桐, 오동나무)
12월 한국 – 비(雨) , 일본 – 야나기(柳, 버드나무)
한국에서는 12월의 붉은색 피와 오동의 색깔 다른 피 그리고 국화 끗패를 ‘쌍피’라 부르며 2장짜리 피로 취급하지만, 게임 규칙에 따라 보통의 피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보통 화투 묶음에는 추가적으로 피 2장짜리 쌍피 또는 피 3장짜리 삼피 등의 보너스 패(서비스 패,Extra cards)가 함께 포함되어 있어 이를 이용해 다양한 추가 규칙을 만들 수 있다.